축산뉴스

축산뉴스

 

이명박 당선자 농업관은
김미라 2007-12-24 2552
Untitled

이명박 당선자 농업관은

 

 

 

지난 9월22일 이명박 당시 한나라당 대선 후보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친환경유기농 농장인 팔당생명살림을 방문, 경운기를 운전하고 있는 모습. 연합

경쟁력 강화 통한 돈 버는 농업 강조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농업관은 한마디로 ‘경쟁력 강화를 통한 돈 버는 농업’으로 요약할 수 있다.

농민들에게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면 자유무역협정(FTA) 등 어떤 위기도 극복할 수 있다는 게 이당선자의 판단이기 때문이다.

돈 버는 농업을 만들기 위한 첫번째 방법은 농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당선자는 “농업도 이제는 1차 산업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2차 산업으로 가야 하고, 농민들이 2차 산업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1조원이 넘는 공격적인 수출 농기업 10개 이상을 육성하고, 연매출 1,000억원 정도 되는 지역경제기반형 농기업을 100개 만드는 등으로 농업부분의 부가가치를 높인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이당선자는 또 농업·농촌에 대한 투자를 사업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지난 11월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가 주최한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농업(분야)도 사람에게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역설했다.

한편 농업계의 관계자들은 “새 정부가 경쟁력 강화를 통한 돈 버는 농업에 무게중심을 둘 경우 구조조정에 따른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농지거래 규제를 대폭 완화하면 난개발이 이뤄져 식량안보를 위한 최소한의 농지보전이 어려울 수도 있다”면서 “어떤 정책이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부터 마련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농민신문 12/24